마이크로칩 5월 배너
반도체 AI 보안 인더스트리 4.0 자동차 스마트 IoT 컴퓨터 통신 특수 가스 소재 및 장비 유통 정책 e4ds plus

“반도체 제조 시설 확대, 세액 공제 必”

기사입력2021.04.09 15:35

성윤모 산업부 장관, 반도체협회 회장단 회동
인센티브 지원 확대·국제 정세 능동대응 건의

반도체 업계가 반도체 공급 확대 및 글로벌 반도체 시장 대응을 위해 세제 지원 등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.

산업통상자원부(장관 성윤모)는 9일 성윤모 산업부 장관 주재로 ‘반도체협회 회장단 간담회’를 개최해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관련 이슈를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.

이번 간담회에서 정부와 업계는 △글로벌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 △주요국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 등 최근 주요 동향을 공유하고 △국내 투자 확대 및 정부 지원방안 등 향후 대응방안을 집중 논의했다.

이 자리에서 금년 3월에 반도체협회 회장 임기를 시작한 삼성전자 이정배 사장은 “반도체 산업은 인공지능, 자율차, 바이오 등 미래 산업 발전에 필수 요소이며, 국가 경제를 이끌어 가는 핵심산업”이라며 “반도체 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반도체 인력양성을 위한 정부 차원의 종합적 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, 국내 반도체 제조시설 확대에 대한 세액 공제 등 정부의 정책 지원 강화”를 요청했다.

또한 반도체협회 회장단은 이 자리에서 ‘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산업계 건의문’을 전달하고 향후 정책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.

건의문에는 △국내 반도체 제조시설 구축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 확대 △반도체 초격차를 이끌어 갈 우수한 인재 양성 및 공급 △국내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 지원 △반도체 산업을 둘러싼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능동적 대응을 위한 정부 지원 등이 담겼다.

산업부와 업계는 최근 전세계적인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과 관련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IT산업의 핵심부품인 반도체 생산기지로서, D램의 71%, 낸드의 45%, 첨단 파운드리의 40% 등 반도체의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세계경제의 활력 회복에 기여한다는 데에 공감했다.

또한 △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△민간투자 확대 △인력 양성 △차량용 반도체 부족 대응방안 △차세대 전력반도체·AI 반도체와 같은 신시장 개척 등 반도체 관련 최근 주요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.

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“최근 반도체 산업은 기업간 경쟁을 넘어 국가간 경쟁에 직면한 만큼,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당면한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할 시점”이라며 “우리나라는 글로벌 반도체 생산기지로서 충분하고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세계경제에 기여해야 한다”고 말했다.

또한 “메모리·파운드리 생산능력 확충 등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위해 민간의 적극적 투자 확대를 주문하고,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연대와 협력의 필요성”을 언급했다.